블로그 이미지
[오채원연구소공감]대표 :: 세종이야기꾼 :: 실록연구자 :: 소통 디자이너 :: 010-8014-7726 :: chewonoh@gmail.com 오채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8)
오채원연구소공감 (60)
방송 (18)
실록공감 - 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 (51)
세종 유통분流通分 (14)
소통 강의노트 (12)
전문강사 포럼 (7)
삶.사람.생각 (20)
문화 공감 (28)
실록 읽어주는 여자 (16)
Total
Today
Yesterday

우리네 사자성어에는 다양한 생성 갈래가 있다.

그 많은 수가 동아시아의 역사, 종교, 철학 등에서 유래한다.

예를 들어, 불교(중국화된 인도 불교겠지만)의 인과응보報, 야단법석席, 아비규환喚 등을 들 수 있다.

뭐니뭐니해도 중국산이 가장 수가 많을 것이다.

각주구검刻舟求劍, 우공이산愚公移山, 청출어람靑出於藍 등은 '상식'으로 분류되는 사자성어들이다.

우리 역사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들도 있다. 

홍익인간弘益人間, 함흥차사使 등이다.


우리의 속담을 사자성어로 만든 것들도 있다.

'호사유피虎(인사유명)'가 무슨 뜻일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그리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아전인수我田引水'는?

 -제 논에 물 대기

'오비삼척吾尺'은?

 -내 코가 석 자


한글이 없던 시절에 우리 속담을 한자로 '번역'해놓은 사자성어.

굳이 지금도 그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있어빌리티', 즉 허영 때문이 아닌가?

이는 훈민정음 반대상소를 올린 최만리와 다르지 않은 문화사대주의 아닌가?

실록을 읽다가,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본의를 생각해본다.


(모든 사자성어, 고사성어를 우리 말로 풀자는 주장이 아니다. 속담은 본래 우리 말에서 출발했기에 우리 글로 오롯이 담는 것이 옳다는 의미이다.)

Posted by 오채원
, |

지난 8/22에 강의한 세종 13년에 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이 해의 열쇠말(키워드)을 저는 ‘진정성’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신하들이) 본국의 소들이 마침 병에 걸려 많이 줄어 들었기 때문에, 수량을 충당하기 어렵다고 하자는 것을, 내가 채택하지 않았다. 내가 명나라에 대하여 지성껏 섬겨왔는데, 이 한 가지 일에 이르러서 거짓말로 그(소) 수효의 감축을 청한다면 어찌 도리에 되겠는가. 이것이 곧 아홉 길의 산을 쌓아 만드는데 한 삼태기의 흙으로 말미암아 많은 공로가 이지러지는 그것이 아니겠는가[爲山九仞, 功虧一簣]. 나는 하지 않을 것이다." (세종 13/3/25)


“하늘의 뜻을 사람이 돌이킬 수는 없으나, 사람의 힘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마음을 다해서[盡心] 하라.” (세종 13/5/2)


흔히 진정성은 '眞正性(authenticity)'으로 번역되는데요, 저는 '盡情性'으로 보았습니다.

진실성을 넘어서서 온 마음을 다하는 태도가 세종의 정치, 외교, 소통 등에 일관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세종 13년은 나를 모두 태우는[盡] 세종을 만날 수 있는 해였습니다. 



Posted by 오채원
, |

600년 전 실록 기사에서 '객성(客星)'의 정체를 밝히고, 더 나아가 '신성(新星)'의 비밀을 풀었다는 현대의 과학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세종시대 천문학자들이 남긴 자세한 기록이 현대 천문학 발전에 필수불가결한 것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성이 하늘 가운데에서 나와서 동북쪽으로 향하여 들어갔는데, 꼬리의 길이가 4, 5척이나 되었다. 햇무리를 하였는데 양쪽에 귀고리를 하였고, 객성(客星)이 처음에 미성(尾星)의 둘째 별과 세째 별 사이에 나타났는데, 세째 별에 가깝기가 반 자 간격쯤 되었다. 무릇 14일 동안이나 나타났다. (세종실록 19년 2월 5일)


* 상세 기사 : https://goo.gl/2P2PQ7

'세종 유통분流通分'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날은 왜 10월 9일인가요?  (0) 2017.10.09
우리 말과 글이 있는데 왜?  (0) 2017.09.04
실패에 대한 생각  (0) 2017.04.30
오늘의 욕 한마디2  (0) 2017.03.11
오늘의 욕 한마디  (0) 2017.03.11
Posted by 오채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