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오채원연구소공감]대표 :: 세종이야기꾼 :: 실록연구자 :: 소통 디자이너 :: 010-8014-7726 :: chewonoh@gmail.com 오채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8)
오채원연구소공감 (60)
방송 (18)
실록공감 - 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 (51)
세종 유통분流通分 (14)
소통 강의노트 (12)
전문강사 포럼 (7)
삶.사람.생각 (20)
문화 공감 (28)
실록 읽어주는 여자 (16)
Total
Today
Yesterday

지난 6/27에는 세종 9년을 함께 읽었습니다.

이날 강의 내용에는 명나라 조공 및 사신의 횡포, 양녕대군으로 인한 논쟁, 황희의 사위인 서달徐達의 살인 및 그 조작 등 굵직한 사건들이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저는 집현전응교集賢殿應敎 권채權採의 잔혹한 행적과 관련된 세종의 언급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권채는 "시문詩文을 다 잘하여 문형文衡을 받아 왔다"(세종 20년 5월 10일)고 평가를 받을 만큼 당대 최고의 문장가이며, 세종의 총애를 받았던 인물입니다.

그의 정부인은 심한 투기로 첩인 덕금을 동물 이하로 학대했고, 권채는 이를 알면서방관했지요. 

거의 시체에 가까운 덕금의 모습이 우연히 발각되었고, 그 처리 문제로 인해 논쟁이 일어납니다.

이에 대해 세종이 말씀하시지요.


"임금의 직책은 하늘을 대신해 만물을 다스리니, 만물이 그 처소를 얻지 못하여도 대단히 상심할 것인데 하물며 사람일 경우야 어떻겠는가[人君之職, 代天理物, 物不得其所, 尙且痛心, 況人乎]. 진실로 차별없이 만물을 다스려야 할 임금이 어찌 양민良民과 천인賤人을 구별해 다스릴 수 있겠는가.” (세종실록 9년 8월 29일) 



Posted by 오채원
, |

[ 실록공감 08_조선시대의 개고기 로비 ]


------------------------------------------------------------------

[共享生生之樂, 세종실록 24년 1월 7일]

세종과 더불어, ‘나와 다른 당신’과 공감하고 싶습니다.

------------------------------------------------------------------


지난 회(실록공감 07_광해군과 음식로비)에 이어, 특이한 뇌물에 대한 이야기를 하나 더 해볼까 합니다. 조선의 11대 임금인 중종中宗과 사돈지간으로 위세 등등했던 김안로金安老는 개고기를 무척 좋아했다고 전해집니다. 그 사실을 안 몇몇 사람들은 그에게 개고기를 뇌물로 바치고 요직에 올랐지요.


이팽수李彭壽를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임금 비서실의 문서관리자, 정7품)에 제수하였다.

사관은 논한다. 이팽수는 해당 부서인 승정원의 추천도 없었는데, 김안로가 마음대로 추천한 것이었다. 김안로는 개고기를 좋아했는데, 이팽수가 봉상시참봉奉常寺參奉(국가제사 관장하는 관청의 말단직, 종9품)으로 있을 적에 크고 살진 개를 골라 사다가 먹여 늘 그의 구미를 맞추었으므로 김안로가 침이 마르도록 칭찬했다. 어느 날 갑자기 청반淸班(지위는 낮으나 추후 고위직에 등용될 수 있는 관직)에 올랐으므로 사람들은 그를 ‘가장주서家獐注書’라 불렀다. (중종실록 29년 9월 3일)


가장주서의 가장家獐은 ‘삶은 개고기[烹炙犬肉]’를 가리킵니다. 결국 이팽수는 ‘개고기 공무원’이라는 우스꽝스러운 별명이 붙었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팽수만 김안로에게 ‘개고기 로비’를 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어서 이팽수의 동료였던 진복창이라는 인물에 대한 기록을 보겠습니다.


진복창陳復昌을 봉상시주부奉常寺注簿(국가제사 관장하는 관청의 실무책임자, 종6품)에 제수하였다.

사관은 논한다. 김안로가 권세를 휘두를 때 이팽수가 봉상시 참봉이었는데, 김안로가 개고기 구이[狗炙]를 좋아하는 줄을 알고 날마다 그것을 만들어 제공하였고, 마침내 김안로의 추천을 받아 요직[淸顯職]에 올랐다. 그 뒤 진복창이 봉상시 주부가 되어서도 개고기 구이로 김안로의 뜻을 맞추어 온갖 요사스러운 짓을 다 하는가 하면, 매번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김안로가 개고기를 좋아하는 사실까지 자랑삼아 설명하였다. (중종실록 31년 3월 21일)


진복창陳復昌이 감히 분수에 넘친 계획을 품고 밀어주는 세력을 얻을 것을 생각하여 처음에는 김안로를 섬겼는데, ‘개고기 구이[犬炙]’가 이팽수에 미치지 못한다’는 질책을 받기까지 하였다. 【진복창이 봉상시주부로 있을 때 이팽수와 동료였는데, 김안로를 섬겨서 그 세력으로 좋은 벼슬을 얻으려고 다투어 개고기 구이로 아첨하였다. 진복창은 자신의 개고기 구이의 맛이 최고라 생각하고 올렸지만, 김안로는 오히려 이팽수의 개고기 구이의 맛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하였다.】 (명종실록 5년 5월 24일)


진복창 또한 이팽수처럼 개고기 요리를 김안로에게 바쳤습니다. 심지어 사람들 앞에서 자랑까지 했지요. 하지만 어쩌나요. 김안로의 입에는 이팽수의 요리가 맞았던 모양입니다. 진복창은 김안로에게 ‘이팽수의 개고기보다 맛없다’는 질책까지 받지요.

밤낮없이 고관대작의 집들을 찾아다니며 인맥을 쌓았으나(명종실록 5년 5월 24일), “나중에 크게 쓰이지 못하였다”(중종실록 31년 3월 21일)는 진복창에 대한 사관의 평가에서 연민마저 느껴집니다.


로비lobby를 조선시대에는 ‘분경奔競’이라 칭했는데요. 이는 '분주히 쫓아다니며 이익을 추구함'을 가리키는 ‘분추경리奔趨競利’의 줄임말입니다. 다른 말로 ‘관직 사냥’을 가리키는 ‘엽관운동獵官運動’이라고도 불렀습니다.

뇌물과 청탁으로 권력을 획득하거나 이득을 취하려는 시도는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였나 봅니다. 조선 초 정종定宗이 분경을 금지하는 교서敎書(임금의 공식문서)를 내렸는데(정종실록 1년 8월 3일) 실효성이 별로 없었습니다. 이후 태종太宗 시대에 들어 ‘김영란법’, 즉 분경금지가 법제화됩니다(태종실록 1년 5월 20일). 하지만 분경은 그 특성상 비밀스럽게 이루어지는지라 조선시대 내내 존재했습니다. 인간에게 인정욕, 권력욕, 상승욕 등이 존재하는 한, 분경은 앞으로도 사라지지 않겠지요.


* 참고문헌 :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아시아경제, 2017-08-10,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김영란법 상한액, 선물은 올리되 경조사는 낮추겠다”」.


(사진 : 아시아경제)


Posted by 오채원
, |

지난 6/20에 강의했던 내용을 공유합니다.

세종 8년(1426년)에는 세종의 재위기간 33년을 통틀어서도 굵직하달 수 있는 사건들이 여럿 있었습니다.


우선, 서울 시내에서 일어난 연쇄방화 사건을 들 수 있겠습니다. 

한양 도성 내 방화사건이 연이어 민가 2천여 채가 연소되고, 사망자는 32명에 이르렀습니다.

이 사건을 겪으며, 현재의 소방청에 해당하는 '방화도감'이 설치되는 등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방책들이 마련됩니다.


또 하나의 사건을 들자면 대규모 뇌물 스캔들이 있었습니다.

'김도련金道練 게이트'라고 제가 이름을 붙였는데요.

김도련이 정부 고위 관료들에게 광범위하게 노비를 뇌물로 바쳐, 재판 결과를 유리하게 끌어간 사건들이 발각됩니다.

조사를 하다 보니, 그 중에서도 조말생은 10여 년간 요직에 있으면서 노비 36명 등 어마어마한 뇌물수수를 기록하게 되지요.

본 사건은 '조말생趙末生 뇌물 사건'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거의 매해 가뭄과 흉년이 드는 가운데, 민심이 흉흉하여 방화 사건은 일어나고, 지근 거리의 신하들은 부패의 고리가 얽히고 설킨 상황.

아이고, 누구와 함께 이 나라를 꾸려 갈꼬.

세종의 한숨이 여기에까지 들리는 듯합니다.




Posted by 오채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