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오채원연구소공감]대표 :: 세종이야기꾼 :: 실록연구자 :: 소통 디자이너 :: 010-8014-7726 :: chewonoh@gmail.com 오채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8)
오채원연구소공감 (60)
방송 (18)
실록공감 - 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 (51)
세종 유통분流通分 (14)
소통 강의노트 (12)
전문강사 포럼 (7)
삶.사람.생각 (20)
문화 공감 (28)
실록 읽어주는 여자 (16)
Total
Today
Yesterday

[ 실록공감 02_세종 가족 음악회 ]


------------------------------------------------------------------
[共享生生之樂, 세종실록 24년 1월 7일]
세종과 더불어, ‘나와 다른 당신’과 공감하고 싶습니다.

------------------------------------------------------------------



세종은 요즘 식으로 말하자면 예술창의교육의 수혜자였습니다.
맏형 양녕대군이 14년간 세자로서 '군주론' 입시교육을 받은 데 비해,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본인이 선택한 것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아버지 태종은 어린 충녕에게 "너는 할 일이 없으니, 평안하게 즐기기나 하라" 고 말한 바 있는데요.
이는 어찌 보면, 세종에게 언감생심 왕좌에 곁눈질도 주지 말라는 경고를 한 셈입니다. 
이러한 태종의 심중을 이해했는지, 세종은 공부 외에, "글씨와 그림[서화書畫]·아름다운 돌[화석花石]·현악기 거문고와 슬[금슬琴瑟] 등" 예술을 즐기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이론까지 섭렵하지 않은 바가 없었습니다(태종실록 13년 12월 30일).


이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도 세종은 음악에 마음을 많이 쓰셨다고 전해집니다(성종실록 9년 11월 7일). 
세종이 어린 시절에 거문고를 잘 타서, 형인 양녕에게 가르쳐줬고, 그래서 둘 사이가 좋았으며, 형제의 그 화목한 모습을 아버지 태종이 흐뭇하게 바라보는 모습이 실록에 기록되어 있고요(태종실록 13년 12월 30일).
나중에 일가를 이루어서는 아들들에게 음악을 배우도록 권했답니다(세조실록 총서).
세종에게 음악이란 화합의 방편이었으리라 생각됩니다.


실록을 보면 <세종 가족 음악회>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종친들이 모인 어느 날, 세종의 차남인 수양대군(이후 세조)이 피리를 불자, 자리에 있던 종친들이 모두 감탄합니다. 
그리고 학이 날아와 뜰 가운데에서 춤을 추는데, 나이 어린 금성대군(세종의 육남)이 이것을 보고는 홀연히 일어나서 학과 마주서서 춤을 춥니다(세조실록 총서). 
저는 실록에서 이 대목을 읽고는 눈을 감고 상상을 해보았는데요. 
한 폭의 그림이 절로 그려졌답니다.


2015년부터 세종이 누워 계신 여주 영릉에서 세종의 이야기, 그리고 그 내용과 연관 있는 우리 음악을 함께 들려드리는 음악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는 '세종이야기꾼'으로 참여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세종의 가족들에 대한 소개, 그리고 '세종 가족 음악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딱딱한 인문학 강좌에서 벗어나, 우리네 일상에서 소통되는 조선왕조실록, 그리고 '인간 세종'을 추구하며, 관객들과 가까이 만나고 있습니다.
앞으로 실록으로 공감해가는 세종이야기꾼, 그리고 [실록공감]이 되도록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참고문헌-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세종이야기 풍류방』 원고.


Posted by 오채원
, |

[ 실록공감 01_세종의 지방수령 면담 ]


------------------------------------------------------------------
[共享生生之樂, 세종실록 24년 1월 7일]
세종과 더불어, ‘나와 다른 당신’과 공감하고 싶습니다.

------------------------------------------------------------------


세종이 백성을 구휼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하자, 변계량卞季良은 관리의 “사람됨을 잘 알고 쓰는 것”이 제일이라고 대답합니다. 정초鄭招는 “새로 임명된 수령은 전하께서 반드시 직접 면담하시와, 어질고 어질지 못한 것을 살피신 다음에 부임케 하면 수령으로서도 적격자를 얻을 것이며, 백성도 진실한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그 방법을 제시합니다(세종실록 1년 1월 30일). 


실제로 그 후부터 세종은 발령지로 내려가기 전의 지방 수령을 직접 면대하여 “수령은 임금의 근심하는 마음을 나누어 백성을 다스리는 것이니, 그 임무가 지극히 중대하다. 그대들은 나의 마음에 부응하여 백성을 어루만지고 폐해를 제거하는 데 힘쓰라”며 ‘협치’를 당부합니다(세종실록 7년 12월 7일). 또한 이미 근무 중인 수령에게서는 해당 지역의 현황에 대해 보고를 받기도 합니다. 


그렇게 만 6년간 시행해오던 어느 날, 세종은 고위직뿐 아니라 하위직 수령에게까지 면담을 확대하겠다고 이야기합니다. “이전에는 2품 이상인 (고위직의) 수령만을 접견하였으나, 내가 자세히 생각하여 보니, 시골의 먼 곳을 내가 친히 가서 다스리지 못하고 어진 관리를 선택하여 나의 근심을 나누어 보내는 것이니, 그 임무가 가볍지 않다. 그런 까닭에 2품 이하의 수령도 친히 보고 보내도록 하겠다”는 말씀이지요(세종실록 7년 12월 10일). 이렇게 세종은 중앙 정부와 지방간의 소통을 정례화・법제화・정책화 하여, 민생에 가까운 정치를 실행하고자 노력합니다.


오늘(6/14) 신문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시도지사 간담회를 열었다는 소식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시도지사들은 각 지역의 현안을 공유하며 그 해결책을 구하는 한편, 국정 운영에 협조할 의사를 피력했다고 합니다. 이에 문 대통령은 강력한 지방분권제를 약속하고, 더 나아가, 시도지사 간담회를 일회성 행사가 아닌 정례화하고, 향후 개헌을 거쳐 제2국무회의로 제도화하겠다는 의지도 밝혔습니다.
어딘가에서 많이 본 모습 아닌가요? 어릴 적 꿈이 역사학자였다는 문 대통령께서 역사의 교훈을 잊지 않고, 세종처럼 소통하는 정치를 이어가 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뉴스핌, 2017-06-14, 「문 대통령 "시·도지사 간담회 정례화…제2국무회의 예비모임"」.
3. 연합뉴스, 2017-06-14, 「이시종지사, 오송3산단 조성 지원 등 대통령에 건의」.
4. 이데일리, 2017-06-14, 「최문순 강원도지사, 文대통령에 “돈·권력, 분산시켜 달라”」.

(사진 : 뉴스핌)

Posted by 오채원
, |

이번주 토요일(6/17) 오후 2-3시에 '세종이야기 풍류방'이 진행됩니다.
2015년부터 참여하여 올해로 3년차를 맞이하는데요.
올해는 <이도李祹 씨네 가족 이야기>라는 주제로, '인간 세종'이 가족의 구성원으로 어떠했을지, 그리고 그의 가족은 어떤 면모를 지닌 사람들이었는지 등에 대해 세종이야기꾼 오채원이 들려드리고자 합니다.
세종이 누워계신 영릉의 재실에서, 조선왕조실록 속 그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우리의 전통음악을 들려드리는 시간.
기계를 거치지 않은 생생한 소리를 한옥에서 들을 수 있는 귀한 경험, 그리고 일상 속에서 세종을 느끼는 한마당이 되도록 열심히 준비하겠습니다.

(본 음악회의 전후로 영릉 이야기 답사, 그리고 세종시대의 과학체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주관 : 문화예술감성단체 여민
-주최 : 여주시
-후원 : 경기도, 문화재청, 세종대왕유적관리소


Posted by 오채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