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오채원연구소공감]대표 :: 세종이야기꾼 :: 실록연구자 :: 소통 디자이너 :: 010-8014-7726 :: chewonoh@gmail.com 오채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8)
오채원연구소공감 (60)
방송 (18)
실록공감 - 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 (51)
세종 유통분流通分 (14)
소통 강의노트 (12)
전문강사 포럼 (7)
삶.사람.생각 (20)
문화 공감 (28)
실록 읽어주는 여자 (16)
Total
Today
Yesterday

조선시대의 지방교육기관인 향교가 변화하고 있다.
'어디 지집이 감히 향교에!'라는 어르신은 여전히 계시다고 들었지만, 1420년에 창건된 강원도의 간성향교는 비교적 개방적으로 보인다.
2년째 [간성향교, 선비의 향기를 만나다]에 참여하며 느낀 점을 몇 가지 적어본다.



작년에는 이곳에서 3주간 선비리더십을 강의했다.

멀리 서울에서 왔는데 물회라도 한 그릇 드시고 가라는 어르신들의 정이 참으로 감사했다(그리고 물회가 질리도록 실했다ㅎ).
수강생 분들 중에는 훈장님이 계셨는데, 내 짧은 소견에도 '선생님' 대접해주시는 모습에 존경심이 절로 우러나왔다.
그분들이 올해는 석달간 강습 받으신 시조창을 무대에서 선보이셨고, 나는 사회자로 그분들을 소개할 수 있어서 뿌듯했다.



올해는 하루에 두 가지 행사가 진행되었다.

1부 <선비의 향기, 예술로 피어나다>에서는 전통 음악 중심의 음악회, 2부 <선비의 향기, 랩으로 말하다>에서는 청소년 랩퍼들의 배틀이 펼쳐졌다.

2부의 참가자들은 전국에서 130여 명이 응모하여, 무려 17:1의 경쟁을 뚫고 8명이 결선에 진출하였다.
나에게는 1부 사회자, 2부 심사자로 서는 임무가 주어졌다.



토론 심사는 종종 해왔지만, 랩을???

랩 플로우, 딜리버리 등은 잘 모르지만, 주제와의 연관성, 표현의 창의성 등은 토론 심사와도 일맥상통한다.

선비정신이라는 주제를 얼마나 이해하고, 연구하고, 자신의 용어로 녹여냈는지 주안점을 두고 심사하였다.
음악에 강점이 있는 현직 랩퍼 심사자들과 나는 그렇게 협력하고자 했다.
《대학大學》의 '삼강령 팔조목三綱領八條目'을 나름으로 이해한 참가자, 최근 정치의 시사점을 비꼬아 옛 선비와 연결한 참가자, 퇴은退隱한 선비에 공교육에서 이탈한 자신을 비교한 참가자 등 10대 랩퍼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선비정신을 노래했다.



앞으로도 이러한 세대간 소통, 문화간 소통, 지역간 소통, 이성간 소통 등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명륜당明倫堂 편액, 태극기, 그리고 반바지 입은 청소년이 어우러진 광경을 바라보며 생각했다.
전통을 '고집'으로 이해하면 그 향기는 날아간다.




Posted by 오채원
, |

지난 4/11 [실록공감-나와 세종을 실록하다] 시간에 강의했던 내용을 첨부합니다.

세종실록을 본격적으로 읽어나가기 전에 우선, 태종이 겪었던 일들을 간략하게 소개하였습니다.

'성군 세종'이 아닌, '인간 이도'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세종에게 영향을 준 인물인 아버지 태종을 소개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양녕에서 충녕으로 세자를 변경하고, 그 바로 두달 여 만에 왕이 교체되는 빠른 호흡의 사건과 인물 등을 다루었습니다.

1418년 스물 두 살의 젊은 왕 세종, 그리고 그를 왕으로 훈련시키는 태종의 입장에서, 그 한 해를 돌아보며 '열쇠말(키워드)'을 '통痛'으로 맺음하였습니다.

태종도 세종도 아픈 한해였겠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Posted by 오채원
, |

[ 실록공감 03_세종과 윤대輪對 ]


--------------------------------------------------------------------
[共享生生之樂, 세종실록 24년 1월 7일]
세종과 더불어, ‘나와 다른 당신’과 공감하고 싶습니다.

--------------------------------------------------------------------


“20년 이래로 이와 같은 가뭄은 보지 못했다”고 한탄할 정도로, 세종이 재위한 지 7년째 되던 해에는 한재가 극심했습니다(세종실록 7년 7월 7일). 이에 세종은 “죄는 실로 나에게 있다” 며 책임을 자신에게 돌립니다. 전통시대에는 하늘이 가뭄・홍수・혜성 등의 이상 기후・천문 현상을 통해 위정자를 견책한다고 여겼으며, 위정자는 이를 잘못을 바로잡을 기회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세종은 자신 혹은 법령의 잘못됨, 민생의 괴로움을 숨김없이 말하여, “나의 하늘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근심하는 지극한 심정에 도움이 되게 하라”는 왕명을 내립니다(세종실록 7년 6월 20일).


그러자 3일 후, 110명 이상이 제안한 스물세 가지 개선책이 보고됩니다. 그 중 하나는 ‘윤대輪對’라는 왕에 대한 신하의 일대일 대면 보고였습니다. “4품 이상의 관료들에게 매일 차례대로 왕에게 대답하게 하여 언로言路를 더욱 넓히고, 아랫사람이 자신의 심정을 다 아뢰는 과정을 통해, 신하들의 그릇되고 올바름을 살피시라”는 주문이었습니다. 
신료들이 다 모인 조회朝會와 같은 공식 석상에서는 말하기 힘들겠지만, 왕과 둘만 남게 되면 허심탄회하게 속사정을 표현할 수 있겠지요. 또한 고위직뿐 아니라, 중간급 직위의 신하와도 소통함으로써 그의 사람 됨됨이를 파악하면, 그 다스림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백성들에게 도움이 될 터입니다.
윤대를 실시하자는 제안을 세종은 즉각 수용합니다. “동반東班(문관)은 4품 이상, 서반西班(무관)은 2품 이상이 매일 들어와서 대답하게 하라”고 지시를 내립니다(세종실록 7년 6월 23일).


윤대에 임한 신료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합니다. 경창부慶昌府 소윤少尹(정4품, 궁궐 내 업무 관리) 고약해高若海는 윤대에 들어 아뢴 일이 무려 50여 조목이나 될 정도였습니다(세종실록 7년 7월 15일). 
윤대에서 제출된 제안은 국정 운영에 적극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성균관에 온돌과 목욕탕을 설치하고, 항상 의사를 보내 학생을 치료하도록 조치를 취하는데, 이는 그 이틀 전의 윤대에서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정3품, 현재의 서울대총장) 황현黃鉉이 학생들이 습질濕疾에 걸리는 일이 많다고 보고한 바에 따른 것이었습니다(세종실록 7년 7월 19일).


최근 타인의 의견을 전면 배격한 국가 지도자의 발언이 보도되었습니다. 바로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몇 달 전인 당선자 시절에, 자신이 "똑똑한 사람"이므로 “같은 내용을 같은 단어로 매일 들을 필요가 없다”며 국정 브리핑의 불필요함을 주장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정보마저 ‘고립주의’를 내세우던 그였건만, 대통령 취임 후 거의 매일 정보기관의 대면 보고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그가 그래픽・표・사진 등 “이미지화된 정보 브리핑을 선호하는 탓에 정보의 민감성과 정보 수집 과정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윤대라는 민감성 높은 소통을 통해 신료와 유대를 형성하고, ‘민생의 괴로움[民生之疾苦]’을 해결하고자 했던 세종, 그리고 그와 정반대 지점에 서 있는 트럼프의 사례를 우리의 위정자들은 참조하길 바랍니다. 그래서 ‘십상시十常侍’나 ‘문고리 3인방’과 같은 특정 소수 세력이 국정을 농단하는 사태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기를, 아울러 국민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정치가 행해지기를 바랍니다.


* 참고 문헌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조선일보, 2017-05-31, 「트럼프, 정보기관 대면보고 매일 받아… 킬러 그래픽 이용한 브리핑 좋아해」.
3. SBS 뉴스, 2016-12-12, 「일일 브리핑 필요 없단 트럼프, "난 똑똑해…같은 단어·같은 내용"」.


(사진 : 뉴시스, 2017-06-23)


Posted by 오채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