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오채원연구소공감]대표 :: 세종이야기꾼 :: 실록연구자 :: 소통 디자이너 :: 010-8014-7726 :: chewonoh@gmail.com 오채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8)
오채원연구소공감 (60)
방송 (18)
실록공감 - 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 (51)
세종 유통분流通分 (14)
소통 강의노트 (12)
전문강사 포럼 (7)
삶.사람.생각 (20)
실록 읽어주는 여자 (16)
문화 공감 (28)
Total
Today
Yesterday

(헌릉 봉분 부근에서 내려다 본 풍광)

세종 4년 임인壬寅에 임금(그때는 상왕, 태종)이 승하하시려 할 때 “가뭄이 지금 심하니 내가 죽은 뒤에도 아는 것이 있다면 반드시 이날 비가 오도록 하겠다.” 라고 하교하였다. 그 뒤로 매양 제삿날이면 반드시 비가 왔기 때문에 세상에서 ‘태종비[太宗雨]’라 하였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조야첨재朝野僉載」)

 

(혼유석 아래의 태종비 구멍)

아들 세종을 위해 아버지 태종은 저 세상에 가서도 비를 내리겠다는 유언을 남겼고, 그의 기일 즈음의 비를 조선시대 사람들은 '태종비'라 불렀다.
태종-원경왕후의 헌릉, 순조-순원왕후의 인릉 답사를 앞두고 날이 더워서 염려했는데, 간간이 내리는 비로 적당히 시원하고 싱그러웠다.
음력 5월 10일은 지났지만, 찾아간 우리를 위해 태종께서 비를 내려주셨을까?

 

(왕릉 지킴이의 설명을 듣는 중)

한 시간 가량의 헌릉과 인릉 답사를 마치고, 조선왕조실록 속 관련 기사를 엮어서 [헌인릉에서 세종을 만나다] 라는 발제를 나누었다.
세종을 공부하는 것에서 그치지 말고, 그것을 토대로 사람들에게 감화력을 줄 수 있도록 더욱 정진하자는 결론에 공감들 해주셔서 감사했다.

 

(내가 준비한 '헌인릉에서 세종을 만나다' 발제문)

학창시절에 소풍이나 사생대회 차 올 때마다 '왜 우리는 넘의 무덤에서 노나?' 심드렁했는데, 실록을 만난 이후로는 왕릉 답사에 재미가 새록새록 생긴다.
2009년 6월 27일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선정된 조선왕릉.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했는데, 지역민들의 공원으로 그치지 말고, 그 의미를 보다 널리 공유하길 바란다.
그럼 더 열심히 공부하고 사람들과 소통해야겠지.

 

(홍주희 님이 찍어주신 사진)

Posted by 오채원
, |

2018년 올해는 세종이 즉위한 지 10주갑, 즉 6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회갑回甲·환갑換甲 등으로도 불리는 주갑周甲은 동아시아문화권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60갑자를 다 지내고 다시 시작인 갑甲으로 되돌아오는 때이거든요.

하나의 큰 마무리이자 또 시작점이 되기에, 우리는 61세 생일을 중요하게 지내왔습니다.



'겨레의 스승'으로 불리는 세종이 왕위에 오른지 60주갑, 즉 600주년이 되는 올해를 어떻게 기념하면 좋을지 생각이 많았습니다.

세종 연구자만이 아니라, 가벼운 관심이 있는 분들도 함께 어울렁더우렁 즐길 수 있는 일이 무엇이 있을지 고민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우리가 어떻게 세종을 만나게 됐는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겠다는 지점에 도달했습니다.

세종실록을 함께 읽은 도반들이 중심이 되어, 세종에 대한 이야기를 다양한 시각에서 나누는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매달 마지막 목요일 저녁 7시, 12개의 테마 강연이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한의학, 동양철학, 자연과학, 훈민정음학,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해한 세종, 그리고 각 테마에 어울리는 악기에 대한 이야기 및 연주를 들려드립니다.

그 시작은 제가 맡았습니다.

<충녕 이도李祹, 세종이 되다>

세종이 어떠한 사람이었기에 왕이 될 수 있었는지, 그리고 그에게 큰 영향을 끼친 아버지 태종에 대한 이야기 등을 준비하였습니다. 

선착순 10분에 한하여 무료 수강의 기회를 제공하니 서둘러주세요!





Posted by 오채원
, |

5/16에 강의했던 세종 4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해에는 아버지 태종이 훙서하는 큰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열쇠말로 ‘그칠 지止’를 선정했습니다.

그간 아버지 태종은 상왕으로서 국정 운영의 키를 쥐고 있었는데요.

그의 죽음으로 이제 태종의 시대는 그치고, 본격적으로 세종호가 출발합니다. 





Posted by 오채원
, |

지난 4/25에는 재위 2년째를 맞은 세종을 알아가는 시간이었습니다.

이때 어머니인 원경왕후가 돌아가시는 큰 일을 겪는데요.

맏이 양녕대군 편에 서서 세자 교체를 반대했던 어머니께 보이는 세종의 효성에 아버지 태종이 감탄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내가 대비와 주상의 간 곳을 몰랐는데, 오늘에야 알고보니 주상이 대비의 학질()을 근심하여 몸소 필부의 행동을 친히 하여, 단마(單馬)로써 환자 두 사람만을 데리고 대비를 모시고 나가 피하여 병 떼기를 꾀하니, 심히 그 효성()을 아름답게 여긴다." (세종2/6/7)



여기에 대해 중용中庸』의 '성誠' 개념을 연결하여 이날의 마무리를 지었습니다.

誠者,天之道也;誠之者,人之道也。(성이라는 것은 하늘의 도이고, 성을 행하는 것은 사람의 도이다.)

정말 정성 가득한 세종의 모습이 그려진 해였습니다.



Posted by 오채원
, |

지난 4/11 [실록공감-나와 세종을 실록하다] 시간에 강의했던 내용을 첨부합니다.

세종실록을 본격적으로 읽어나가기 전에 우선, 태종이 겪었던 일들을 간략하게 소개하였습니다.

'성군 세종'이 아닌, '인간 이도'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세종에게 영향을 준 인물인 아버지 태종을 소개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양녕에서 충녕으로 세자를 변경하고, 그 바로 두달 여 만에 왕이 교체되는 빠른 호흡의 사건과 인물 등을 다루었습니다.

1418년 스물 두 살의 젊은 왕 세종, 그리고 그를 왕으로 훈련시키는 태종의 입장에서, 그 한 해를 돌아보며 '열쇠말(키워드)'을 '통痛'으로 맺음하였습니다.

태종도 세종도 아픈 한해였겠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Posted by 오채원
, |

4/4 [실록공감-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의 출정식 겸 공개강연이 있었습니다.

제가 옛날옛적 실록을 처음 접하며 겪었던 어려움을 고백하고, 앞으로 우리가 더불어 나아가길 기대하는 목표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함께 자리한 분들께 짐을 마구마구 지워드렸더랬지요.


'나, 이대 나온 여자야'가 회자되었던 이유는 아마도, 과거 소외되었던 여성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했던 이화여자대학교의 문제의식과 배치되는 태도가 그 말에 담겼기 때문일 것입니다.

저는 이번 기회를 통해, 단순히 실록과 세종을 학습하는 지적 만족 혹은 도구적 이용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삶에 의미 있는 점 하나를 찍고 싶습니다. 
 지식의 소비자에 그치지 않고, 내 생각을 만들어나가는 시간이 되길 기대합니다.


'논문도 써야 하고 여력이 없는데...' 라는 저를 채찍질해서 마당을 펼쳐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산화탄소 농도 짙은 공간 안에서 벌건 얼굴로 늦은 시간까지 임해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합니다.
다음주부터는 본격적으로 세종을 만나러 갑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어제보다 조금은 '친절한 채원씨'가 될 지 모릅니다ㅎ


Posted by 오채원
, |
공개강의 이후, 본격적인 첫 시간이었던 지난주는 태종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였다.
'聖君성군 세종' 신화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태종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여겼기 때문이었다.
'일그러진 진주(Baroque)' 태종, 그리고 '극복인(Übermensch)' 세종은 아픔[痛]을 공유한 父子부자이자 동지였다.
장석주 시인의 <대추 한 알>처럼, 그들 안에는 "태풍 몇 개", "천둥 몇 개", "벼락 몇 개"가 들어 있었다.



Posted by 오채원
, |

이 또한 버럭남 태종의 말 ㅎ


"저 입도 또한 고깃덩어리다."

(그 입에서 나오는 것을 사람의 말이라고 여겨야 하나?)
[彼口亦肉也。]
(태조실록 7/8/26)

Posted by 오채원
, |

역시 태종은 한 방이 있다 ㅎ


"독기가 내 면상에 드러나는 게 느껴져서, 말을 하고 싶지 않다."
(=당신이 한 마디만 더 하면, 내 입에서 욕 나간다.)


[予覺毒氣發於面上, 不肯於言。]


(태종실록 15년 12월 21일)

'세종 유통분流通分'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패에 대한 생각  (0) 2017.04.30
오늘의 욕 한마디2  (0) 2017.03.11
재산이 아무리 많은들  (0) 2017.03.11
누군가에게 힘을 주는 말  (0) 2017.03.11
책의 의미 (세종 유통분5)  (0) 2015.05.22
Posted by 오채원
, |

저 말에 공감되면서도, 또 한편으론 있는 자의 생각 같기도 하다ㅎ


"옷이 아무리 많아도 다 입을 수 없고, 밥이 아무리 많아도 한번 배부르면 그만이며, 말이 아무리 많아도 다 타지는 못한다. 내(태종)가 어찌 임금 자리를 즐기겠는가!"
[衣雖多, 不得皆着; 食雖多, 止於一飽; 馬雖多, 不能盡騎。 予豈以君位爲樂乎?] 
(태종실록 7년 9월 18일)

Posted by 오채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