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오채원연구소공감]대표 :: 세종이야기꾼 :: 실록연구자 :: 소통 디자이너 :: 010-8014-7726 :: chewonoh@gmail.com 오채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8)
오채원연구소공감 (60)
방송 (18)
실록공감 - 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 (51)
세종 유통분流通分 (14)
소통 강의노트 (12)
전문강사 포럼 (7)
삶.사람.생각 (20)
실록 읽어주는 여자 (16)
문화 공감 (28)
Total
Today
Yesterday

역사학자인 김호 경인교대 교수님과 함께한 [역사로 노닐다 - 정약용,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 위민爲民].

저는 진행자로서 교수님과 대담을 나누었는데요.

(사실 제 임무는 '저질 질문' 담당이었습니다^^;;)

다산 정약용이 어떠한 마음으로 <흠흠신서>를 저술했는지, 당시 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어떠했는지 등을 배웠고, 또한 우리 시대의 법 정의와 공정성에 대해 더불어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평소 저는 '세종이야기꾼'으로서 또는 '실록 읽어주는 여자'로서 강의하고, 스토리텔링 콘서트에서 사회를 보고, 글을 씁니다.

모두 공부가 기반이 되어야 하는 일인데요.

이번 공연을 계기로, 김호 교수님의 교육 철학, 연구자로서의 태도 등을 접하며, 자연히 저를 돌아보고 반성하게 된 것이 가외 소득이었습니다.

다산처럼 또 교수님처럼 '정성 성(誠)' 글자를 새기며 정진해야겠다는 다짐을 했더랬지요.

강호에는 고수, 아니 스승님들이 참 많습니다.

 

당일에 남양주시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되었는데요.

녹화 영상이 유튜브에 공개되었으니, 살펴보시면 교양과 생각을 깊게 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물론 재미도 있습니다!

(저는 25:00 즈음부터 등장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OEG7dO_Pmg

 

공연 2주 전에 사전 미팅을 가졌습니다.

처음 뵌 김호 교수님의 주요 인상은 진중함이었습니다.

그러다가 교수님과 말씀을 나누며, 점점 시니컬함 속 유머와 따뜻함이 느껴졌는데요.

제가 느낀 교수님의 매력과 아래 사진의 표정이 관객들께도 전해졌으면 좋겠다 싶었는데, 영상의 뒷부분으로 갈수록 나옵니다.

 

김호 교수님의 귀요미 표정^^

마지막으로, 공연과 관련된 보도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또 어떤 재밌는 일을 꾸밀지 관심 보내주세요 :=)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739711

Posted by 오채원
, |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정~말 오랜만에 선 무대.

온택트 인문콘서트 [역사로 노닐다 - 정약용,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 淸廉청렴]을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우선, 정가 보컬리스트 하윤주님의 공연으로 문을 열었는데요.

그날의 주인공이 다산 정약용 선생인만큼, 다산의 시 일부를 정가로 창작하여 들려주었습니다.

'정가 여신'이라는 별칭답게 청아하면서도 우아한 목소리와 무대매너로, 투입 대기 중인 저마저도 설렜더랬습니다 :)

 

이어서 역사학자 김준혁 교수님과의 강의+토크+질의응답을 한 시간 반 가량 진행했는데요.

정조와 다산 전문가답게 말씀이 유려하고 어떠한 질문에도 여유롭게 답해주셨습니다.

게다가 파트너를 편안하게 배려해주시는 교수님의 인품에 반했고요.

그간 방송에서 뵈어온 모습과 실제가 똑같은, 참 존경스러운 선생님이었습니다.

(교수님, 또 뵈어요^^)

 

[역사로 노닐다]는 제가 지금까지 진행한 프로그램 중 관객이 가장 적으면서 또 가장 많은 공연이었을 것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사전 예약자 열 분만 현장에 모실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는 남양주시 유튜브로 생중계해서, 테이블에 놓인 아이패드로 많은 분들의 호응과 질문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었답니다.

 

제 주요 전공이 다산이 아니라 자료들 찾으며 공부하고, 김준혁 교수님과 처음 호흡을 맞춰보는 터라 교수님의 영상을 많이 찾아보며 이날을 준비했더랬습니다. 

사고 없이 마치고, 현장 분위기도 좋아서, 감사한 하루였습니다.

 

(이날의 교훈 : 미용실에는 꼬옥 다녀오자;;; 시간이 허락하질 않아서 그냥 머리 질끈 묶었는데, 나중에 영상을 보고는 울고 싶었습니다ㅜ.ㅜ)

 

* [역사로 노닐다] 관련 기사 :

http://www.k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34867

 

Posted by 오채원
, |

남양주에 위치한 정약용 선생의 생가 <여유당與猶堂>. 선생은 서른 아홉 되던 1800년에 원자인 정조가 승하하시자, 고향으로 돌아와 여유당의 편액을 걸게 된다. 그의 문집인 <여유당기與猶堂記>에서, 당호인 여유당에 담긴 선생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출처 : 경향신문 자료사진)


"-전략- 나(정약용)의 병은 내가 잘 안다. 나는 용감하지만 지모(智謀)가 없고 선(善)을 좋아하지만 가릴 줄을 모르며, 맘 내키는 대로 즉시 행하여 의심할 줄을 모르고 두려워할 줄을 모른다. 그만둘 수도 있는 일이지만 마음에 기쁘게 느껴지기만 하면 그만두지 못하고, 하고 싶지 않은 일이지만 마음에 꺼림직하여 불쾌하게 되면 그만둘 수 없다. 그래서 어려서부터 세속 밖에 멋대로 돌아다니면서도 의심이 없었고, 이미 장성하여서는 과거(科擧) 공부에 빠져 돌아설 줄 몰랐고, 나이 30이 되어서는 지난 일의 과오를 깊이 뉘우치면서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선(善)을 끝없이 좋아하였으나, 비방은 홀로 많이 받고 있다. 아, 이것이 또한 운명이란 말인가. 이것은 나의 본성 때문이니, 내가 또 어찌 감히 운명을 말하겠는가.

내가 노자(老子)의 말을 보건대,

“겨울에 시내를 건너는 것처럼 신중하게 하고[與], 사방에서 나를 엿보는 것을 두려워하듯 경계하라.[猶]”

고 하였으니, 아, 이 두 마디 말은 내 병을 고치는 약이 아닌가. 대체로 겨울에 시내를 건너는 사람은 차가움이 뼈를 에듯 하므로 매우 부득이한 일이 아니면 건너지 않으며, 사방의 이웃이 엿보는 것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시선이 자기 몸에 이를까 염려한 때문에 매우 부득이한 경우라도 하지 않는다. -중략- 내가 이 뜻을 얻은 지 6∼7년이 되는데, 이것을 당(堂)에 편액으로 달려고 했다가, 이윽고 생각해 보고는 그만두었다. 초천(苕川)에 돌아와서야 문미(門楣)에 써서 붙이고, 아울러 이름 붙인 까닭을 적어서 어린아이들에게 보인다."

[… 余病余自知之。勇而無謀。樂善而不知擇。任情直行。弗疑弗懼。事可以已。而苟於心有欣動也則不已之。無可欲而苟於心有礙滯不快也則必不得已之。是故方幼眇時。嘗馳騖方外而不疑也。旣壯陷於科擧而不顧也。旣立深陳旣往之悔而不懼也。是故樂善無厭而負謗獨多。嗟呼。其亦命也。有性焉。余又何敢言命哉。余觀老子之言曰與兮若冬涉川。猶兮若畏四鄰。嗟乎。之二語。非所以藥吾病乎。夫冬涉川者。寒螫切骨。非甚不得已。弗爲也。畏四鄰者。候察逼身。雖甚不得已。… 余之得斯義且六七年。欲以顏其堂。旣而思之。且已之。及歸苕川。始爲書貼于楣。竝記其所以名。以示兒輩。]

(출처 : 다산시문집 제13권 여유당기與猶堂記, 韓國古典綜合DB, 한국고전번역원) 


이처럼 정약용 선생은 차가운 세상에 놓인 천둥벌거숭이 같은 자신에게 신중하고 또 신중하자는 의지를 불어넣으며, 집에 여유당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그랬건만 그는 이듬해에, 천주교 박해 사건인 신유사옥辛酉邪獄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유배를 떠나게 된다.

조심하고 관조하고 성찰하는 것만으로는 안 되는 세상이었나보다.


여與(豫)와 유猶 개념의 원조인 노자의 원문이 궁금했다.

<도덕경道德經>을 찾아보니, 노자와 정약용 선생 간에는 의미의 차이가 있어 보인다.



(출처 :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최진석, 소나무)


몸에 힘이 바짝 들어간 조심조심이 아니라, 내면이 묵직한 가만가만의 이미지가 노자의 말씀에서 연상된다.

노자와 정약용 선생이 제시한 여與(豫)와 유 개념의 상관 관계를 생각해 보았다.

道에 이른 사람의 행태인 노자의 여와 유,  이에 가까이 가기 위한 성찰이 정약용 선생의 여와 유가 아니었을까?

내면이 잘 닦인 사람은 납작 엎드려도 비굴하지 않다.

Posted by 오채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