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오채원연구소공감]대표 :: 세종이야기꾼 :: 실록연구자 :: 소통 디자이너 :: 010-8014-7726 :: chewonoh@gmail.com 오채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8)
오채원연구소공감 (60)
방송 (18)
실록공감 - 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 (51)
세종 유통분流通分 (14)
소통 강의노트 (12)
전문강사 포럼 (7)
삶.사람.생각 (20)
실록 읽어주는 여자 (16)
문화 공감 (28)
Total
Today
Yesterday

(월간 공공정책 2016년 7월호에 게재된 글을 소개합니다.)


심통밥통(心通-通) - 측은지심, 소통 그리고 공공성


배고픈 누구라도 살을 퍼가는 뒤주

2014년 여름, 나는 쌀통을 보러 전남 구례로 떠났다. 오로지 두어 달 전에 신문에서 본 그 쌀통 하나 때문에 떠났다.

도착한 곳은 ‘구름 속의 새처럼 숨어사는 집’이라는 뜻을 가진 ‘운조루(雲鳥樓)’로, 조선 영조 때에 낙안(樂安, 현재의 전남 순천) 군수를 지낸 류이주(柳爾胄, 1726-1797) 선생이 직접 지은 자택이다. 올해로 240년 된 이 고택은 본래 아흔아홉 칸에서 현재 육십 여 칸으로 축소되었다고는 하나, 나에게는 궁궐로 느껴질 만큼 넓었다. 집 앞에는 커다란 연못이 있고, 큰사랑채의 누마루에 오르면 지리산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하지만 이런 풍광은 당장 내 관심사가 아니었다. 내가 온 목적은 쌀통을 보는 것이었으니. 나는 집 안에 들어서자마자 눈 레이더를 가동하여 목표물을 탐색했다.

드디어 발견한 ‘타인능해(他人能解)’ 뒤주. ‘(집안 사람 외의) 다른 사람도 열 수 있다’는 뜻을 담은 한자 넉 자가 마개에 쓰인 덩치 큰 통나무 뒤주이다. 배고픈 이는 누구나 쌀을 퍼갈 수 있도록, 이 댁의 주인장은 큰 집, 그리고 큰 뒤주에 어울리는 큰 마음을 베풀었던 것이다. 덕분에 대대로 며느리들은 쌀 두 가마니 반이 들어가는 이 뒤주가 비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숙제였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는 관람객들이 보기 쉽도록, 뒤주를 행랑채에서 안채로 통하는 길목에 놓아두었지만, 예전에는 사랑채의 헛간 안에 두어, 쌀을 퍼가는 이가 집 안 사람들과 마주치지 않도록 했다고 한다.


(뒤주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도록 옆에 선 필자. 뒤주의 정면 하단에 위치한 마개에는 세로로 ‘他人能解’라고 쓰여 있다.)


낮은 굴뚝의 의미

타인능해 뒤주 곁에서 한참 시간을 보내고 있으려니, 50대 중후반으로 보이는 한 남성이 다가왔다. “뭐하는 분이요?” 뒤주의 나뭇결을 손으로 쓰다듬고, 뚜껑을 열어 속을 들여다보고, 이리저리 사진을 찍고, 내력이 적힌 표지를 찬찬히 읽는 내가 유난스러워 보였나보다. 설명을 붙이기 귀찮아서 학생이라고 답했다. “내가 하나 더 보여드리리다. 따라오쇼.” 잠시 당황하다가 이내, 처음 본 아저씨를 따라 집의 더 안쪽으로 걸어 들어갔다.

“여기에서 굴뚝을 찾아보쇼” 아니, 사람을 대청 앞에 세워두고는 굴뚝을 찾으라니. 황당한 얼굴로 그를 쳐다보니 섬돌 밑에 뚫린 벽돌 반만한 구멍을 가리킨다. “내가 문화재 수리하러 전국을 다니는 사람이라 이런 집을 잘 알지. 아가씨가 하도 열심이길래 내가 특별히 알려주는 거요.” 알고 보니, 그는 이 고택을 수리하던 중에, 학습 모드인 나를 보고는 보충 학습까지 시켜준 것이었다.


(굴뚝의 높이를 가늠하기 위해 앉은 필자)


예전부터 궁궐의 굴뚝이 낮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다. 땔거리, 먹을거리가 없는 백성들에게 보일세라, 밥 짓는 연기가 높이 올라오지 않도록 한 것이라지. 그런데 이렇게 꽁꽁 숨어 있는 굴뚝은 처음 보았다. 불을 땔 때마다 매운 연기가 방 안으로 들어오거나 마당에 자욱해서, 집 안 사람들이 불편했겠구나 싶었다. 그나마 장점이라면 모기 등의 날벌레가 자동 퇴치된다는 정도일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기록을 보면, “채찍으로 호랑이를 쫓아낼”만큼 용맹했다는 운조루의 주인장 류이주 선생의 이야기가 나온다. 


총융사 홍봉한이, 영남의 무인인 류이주가 용기와 힘이 뛰어나서, 일찍이 조령[현재의 문경새재]에서 채찍으로 호랑이를 쫓아냈다고 장하게 여기며 말하였다. 그러자 임금[영조]이 류이주를 대궐로 불러, 조령에서 호랑이를 쫓아낸 상황을 말하도록 하였다. 또한 그에게 병법서를 읽도록 시키고, 등용을 명하였다. [摠戎使洪鳳漢盛言嶺南武人柳爾冑, 勇力絶人, 嘗於鳥嶺以鞭逐虎, 上命爾冑入侍, 使陳鳥嶺逐虎狀, 又使讀兵書, 仍命調用。] (영조실록 31년 2월 2일)


배곯는 이에게는 호랑이보다 더 무서웠을 배고픔을, 류이주 선생과 그 자손들은 채찍대신 따뜻한 밥으로 쫓아내려 한 것이 아닐까? 타인능해 뒤주와 낮은 굴뚝으로 대변되는, 처지가 어려운 이와 함께하는 마음 덕분에, 동학혁명·여순사건·한국전쟁 등 한국사의 굵직한 사건들을 겪으면서도 이 집은 온전했다고 한다. 남을 살리면서 나도 사는 상생의 선순환인 셈이다.


하늘과 땅, 그리고 소통

이왕 여행담을 꺼낸 김에, 하나 더 소개하고자 한다. 필자는 최근에 강원도 고성(高城) 죽왕면 오봉리에 위치한 왕곡(旺谷)마을에 다녀왔다. 대체로 200여 년 전에 지어진 기와집·초가집 60여 채에 주민들이 조상대대로 거주해오고 있는 이곳에는 한옥교회인 ‘오봉교회’가 있다. 이곳의 입구에 들어서면 나무 음각 십자가를 만날 수 있는데, 땅을 디디고 있어 사람들 가까이 낮은 곳으로 임한 예수를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30여 년간 이곳에서 목회를 해 오신 장석근 목사님께 이 음각 십자가의 의미에 대해 여쭈었다. “음각이라 내가 십자가가 될 수 있죠.” 우리 일행은 뚫린 십자가 모양에 자신의 몸을 대보았다. “위가 터진 것도 의미가 있어요. 하늘과 통하잖아요.”


(교회 입구에 서 있는 나무 음각 십자가)


주역(周易)의 태(泰)괘를 닮았다. 태괘는 괘상(卦象)이 건하곤상(乾下坤上), 즉 하괘(下卦)가 하늘을 의미하는 건(乾 ☰), 상괘(上卦)가 땅을 의미하는 곤(坤 ☷)으로 구성되어 있다. 땅이 위에, 하늘이 아래에 있으니 제 자리를 잃어 잘못된 것처럼 보이지만, 옛사람들은 달리 생각했던 모양이다. 본래 하늘의 기인 양기(陽氣)는 위로 올라가는, 그리고 땅의 기인 음기(陰氣)는 아래로 내려가는 성질이 있다. 하늘을 아래로 두니 위로 올라가려 하고, 땅을 위로 두니 아래로 내려가려 한다. 옛사람들은 이렇게 두 기운이 움직이며 교감하고 소통하여 조화를 이룬다고 보았다.

흔히 음과 양을 대립적인 관계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들은 서로 의존적인 상의(相依) 관계이기도 하다. 음이 없으면 양이 있을 수 없고, 또 양이 없으면 음이 있을 수 없다. 음 또는 양의 독립 개체로는 생명의 생성이 불가능하고, 반드시 양자의 감응과 변화의 과정 속에서만 가능하다. 마치 남성과 여성이 만나야 생명을 잉태할 수 있으며, 자석이 N극과 S극의 다른 극끼리 만나면 붙는 것처럼 말이다. 결국 태괘는 소통·조화·만사형통을 의미하기에 이른다.

또 하나, 괘의 모양을 보아서도 윗부분이 뚫려서, 하늘과 통한다는 의미 또한 갖는다. 이처럼 땅에 뿌리를 박은 오봉교회의 십자가는, 자신과 이질적인 하늘에게 마음을 열고 소통하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으로 보인다.

목사님과 자연, 철학, 소통 등등에 대한 담소를 나누다가 어느덧 30분 정도 시간이 흘렀고, 뒷일정을 위해 우리는 교회를 나서야 했다. “줄 건 없고......” 목사님은 교회소식지를 두 장 쥐어주셨다. 얇은 A4용지를 반 접은 소식지는 군데군데 비뚤한 손 글씨가 보이고, 옛날 야학의 ‘가리방 등사기’로 찍은 듯 볼품없었다. 집에 와서 펼쳐보니, 그 흔한 광고는 찾아볼 수 없고, 주로 생명에 대한 글만 띄엄띄엄 실려 있다. 그 중, 기독교 신자가 아닌 내게도 울림이 있는, 내 배를 채울 때마다 배곯는 이웃을 생각할 것을 요청하는 <오봉교회 밥기도>를 적어본다.


한 방울의 물에도

하늘과 땅이 어울려 있고,

한 톨의 낟알에도

온갖 숨결이 담겨 있으니

이 밥을 고마움으로 받습니다.


가난한 이웃을 그리며

많은 가운데에서도 알맞게 떠서,

천천히 꼭꼭 씹어서

공손히 먹겠습니다.


이 밥이 우리를 살리듯

우리도 세상의 밥이 되겠습니다.

우리의 밥이신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 아멘


밥에 담긴 마음

끼니 걱정하는 이가 줄었다는 요즘도 우리는 여전히 이렇게 인사한다. “아침 먹었어?”, “밥은 먹고 다니니?”,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인데 적당히 해”. 이처럼 우리네 ‘밥’에는 측은지심(惻隱之心)이 담겨 있다.

맹자(孟子)는 성선(性善)의 근거로서 “사람에게는 차마 타인의 불행을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 면서, 다음과 같은 예를 들었다. “지금 사람들이 갑자기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져 들어가려는 것을 본다면, 모두 깜짝 놀라며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생길 것이다. 이는 그 아이의 부모와 친해 보려고 해서 그런 것도 아니고, 마을 사람이나 친구들에게 칭찬을 받기 위해서 그런 것도 아니고, 또 구해 주지 않는 데 대한 비난의 소리를 듣기 싫어서 그런 것도 아니다[今人乍見孺子將入於井,皆有怵惕惻隱之心。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非所以要譽於鄉黨朋友也,非惡其聲而然也。]" (『맹자』 「공손추 상(公孫丑上)」). 

이 상황에서 어린아이가 아니라, 큰 돌이 우물을 향해 굴러가는 것을 본다고 가정해보자. 그래도 사람들이 동일한 반응을 보였을까? 사람들이 자동적으로 불쌍한 마음을 가지는 까닭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이 생명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맹자는 “측은지심이 없다면 사람이 아니다[人皆有不忍人之心。…… 無惻隱之心,非人也。]" (『맹자』 「공손추 상」) 라며 우리 모두에게는 생명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고 보았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행동력이다. 단순히 측은지심을 갖는 것을 넘어, 실천하려는 의지・용기가 중요한 것이다. 맹자는 그것을 ‘확충(擴充)’이라는 개념에 기대어 설명한다. 내게 있는 측은지심을 확충시킬 수 있다면 “온 세상을 지키기에 충분하고, 만약 그것을 확충시키지 못한다면 자기 부모를 섬기기에도 부족하다[凡有四端於我者, 知皆擴而充之矣, 若火之始然, 泉之始達. 苟能充之, 足以保四海, 苟不充之, 不足以事父母。]" (『맹자』 「공손추 상」) 고 했다. 자신의 착한 마음을 발견하고, 가까운 사람들과 소통하며 그것을 실천하고, 또 더 넓게 확장하여 세상에 가득 채우면 내 가정, 이웃, 사회, 천하가 모두 행복해 질 수 있다는 것이 맹자의 주장이다.


측은지심의 군주 세종

조선의 4대 임금인 세종(世宗, 1397-1450)은 30여 년간 측은지심을 가지고 서민의 밥을 챙겼다.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 되고, 밥은 백성의 하늘[民惟邦本, 食爲民天。]" (세종실록 1년 2월 12일)이라던 그는 재위 기간 중에 “재해와 괴이한 일이 없는 해가 없었다[災異之變, 無歲無之。]" (세종실록 7년 6월 23일) 고 한탄할 만큼 거의 매년 농사로 걱정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재위 7년 되던 해(1425년)에는 기록적인 가뭄이 들었다. 궁에서 보고만 받고 있을 수 없었던 세종은 어느 날 직접 농사 현장으로 나갔다. “이날 행차에 (호위하는 신하들 없이) 단지 당번인 경호원만 거느리고, (임금의 행차에는 꼭 대동하는) 해 가리개[繖]와 부채[扇]를 받치지 않은” 단출한 차림이었다. 돌아보다가 “벼농사가 잘 되지 못한 곳을 보면, 반드시 말을 멈추고 농부에게 상황을 물었다.” 그리고는 “점심 수라를 들지 않고 돌아왔다[是日之行, 只率入番內禁衛司禁, 勿用繖扇。 見禾稼不盛之處, 必駐馬問於農夫, 不晝膳而還。] (세종실록 7년 7월 1일). 아마도 백성들에 대한 미안함과 측은함이 컸으리라. 이와 관련해 세종실록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임금[세종]이 (경복궁의) 경회루 동쪽에, 쓸모없는 재목으로 별실 두 칸을 짓게 하였는데, 주춧돌도 쓰지 않고 띠로 덮게 하였으며, 직접 명령하여 장식을 모두 검소하게 하였다. 이때부터 근정전이 아니라 별실에 기거하였는데, 문 밖에 (왕의 불편함을 염려한 보좌진이 준비한) 거적자리가 있는 것을 보고 말하였다. "내가 명한 바가 아닌데, 어찌 이것을 만들었느냐? 지금부터는 내가 명한 것이 아니면, 작은 물건이라도 안에 들이지 말라."[上命於慶會樓東, 以散材作別室二間, 不用柱礎, 覆以茅草粧(飭)〔飾〕 , 悉皆親命, 務令儉素。 至是, 不御正殿而御別室, 見戶外有藁席曰 "非予所命, 何以作此? 自今非予所命, 雖少物勿納于內。] (세종실록 3년 5월 7일)


"전하[세종]께서 가뭄으로 인하여 찬을 줄이신 지가 여태까지 여러 날이라, 신들은 전하의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하실까 걱정되옵니다[殿下因旱減膳, 于今累日, 臣等恐聖候不調。]" (세종실록 18년 4월 27일)


이처럼 그는 백성들이 배를 곯으면, 자신의 처소를 초가 같은 곳으로 옮기거나, 반찬 수를 줄이는 것으로, 측은지심을 자신의 삶에 들여왔다. 한편, 세종은 사회에서 배제된 계층인 죄수에게도 측은지심을 베풀었다. 


“내가 전에는 더위를 무서워하지 않았는데, 몇 년 전부터 더위가 들기 시작하여, 손을 물에 담그니 더운 기운이 저절로 풀렸다. 이로 말미암아 생각하건대, 죄수가 옥에 있으면, 더위가 들기 쉬워서 생명을 잃는 수가 있으니, 참으로 불쌍한 일이다. 더운 때가 되거든 동이에 물을 담아 감옥에 놓고 자주 물을 갈아서, 죄수로 하여금 때때로 손을 씻게 하여, 더위 먹지 않게 하는 것이 어떠한가? 전에 이 법이 있었는지 상고하여 아뢰라[予前此不畏暑, 自年前始中暑, 以手弄水, 暑氣自解。 因念罪囚在牢獄, 暑氣易著, 或致殞命, 誠可哀也。 當其暑時, 以盆盛水置獄中, 屢更其水, 使囚人或盥其手, 俾暑氣不得着如何? 前有此法歟? 其考以啓。]" (세종실록 30년 7월 2일)


한여름의 맹렬한 더위 속에서 나의 고통을 미루어 남을 측은히 여기고, 또 그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마음. 이것이 측은지심의 진정한 의미일 것이다. 측은지심을 영어로 번역하면 compassion이라고 할 수 있다. 글자를 해체해보면, ‘com(함께) + pass(고통을 겪다·견디다) + ion(명사형 어미)’으로, 다시 조합해서 해석하면 ‘고통을 함께함’의 의미이다. 다른 이의 고통을 함께 느낀다는 것은 결국 ‘공감(共感)’이며, 또한 측은지심이 소통의 출발점이라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상대의 아픔을 공감할 수 있어야 진정한 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내 배가 고프다고 느끼면 동시에 남의 배고픔을 생각할 줄 아는 마음으로 소통하는 것을 나는 ‘밥통(-通)’이라 부른다. 달리 말하면,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는 측은지심을 기반으로 한 소통 ‘심통(心通)’인 것이다. 이처럼 소통은 측은지심을 타고, 자기 한 몸을 넘어 타인에게까지 세계를 확장시키는 연결고리가 된다.

'삶.사람.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연결돼 있다.  (0) 2017.09.23
분노 없이 정의를 세울 수 없다  (0) 2017.03.11
본립이도생(本立而道生)  (0) 2016.07.04
죽어야 끝나는 일  (0) 2016.04.26
『맹자』를 읽다가  (0) 2016.03.18
Posted by 오채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