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오채원연구소공감]대표 :: 세종이야기꾼 :: 실록연구자 :: 소통 디자이너 :: 010-8014-7726 :: chewonoh@gmail.com 오채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8)
오채원연구소공감 (60)
방송 (18)
실록공감 - 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 (51)
세종 유통분流通分 (14)
소통 강의노트 (12)
전문강사 포럼 (7)
삶.사람.생각 (20)
실록 읽어주는 여자 (16)
문화 공감 (28)
Total
Today
Yesterday

어제는 [실록공감]에서 세종 재위 20년의 실록을 함께 읽었다.
고질병이 하나하나 더해져 스스로 노쇠해짐을 자각하며, 세자섭정 등 미래를 준비하는 세종.
긴 안목에서 근본을 곱씹는 그를 보고 있자니 논어 구절이 떠올랐다.

子曰: "人無遠慮, 必有近憂."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멀리 앞을 내다봄이 없으면 반드시 가까운 데서 근심이 생긴다." 《논어論語》《위령공衛靈公》)

이제 [실록공감] 2기가 2주 남았다.
3기는 어떠한 발전된 형태로 진행할 지, 그리고 '2017년 실록공감' 팀의 졸업(?) 이후는 어떻게 할 지 생각이 많다.
아울러 일, 공부, 사람과의 만남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나는 어떤 시야로 임해야 할 지 떠올리자니 마음 속에 바람이 분다.



Posted by 오채원
, |
'본립이도생(本立而道生)' (『論語(논어)』 「學而(학이)」).
보통은 '근본이 수립되면 도가 생긴다'로 해석하지만, 나는 '근본을 수립하면 길이 열린다' 로 해석하고 싶다.
나의 됨됨이, 공부를 치열하게 닦아가면, 불안했던 인생길이 어느새 명확해지고, 그에 따라 삶의 행복도도 높아진다는 공자의 충고가 아닐까.
결국, 나의 마음과 학문을 닦는 것은 나를 위함[위기지학(爲己之學)]이다.
그저 모든 것이 감사한 오늘.


Posted by 오채원
, |

내 사람

삶.사람.생각 / 2015. 8. 30. 11:19

(세한도歲寒圖, 김정희金正喜, 1884년, 지본묵화紙本墨畵, 23x69.2cm)


이 그림은 "날이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잎이 늦게 지는 것을 안다[歲寒,然後知松柏之後彫也。]."는 『논어(論語)』 「자한(子罕)」편의 글귀에서 유래한다.

완당(혹은 추사)이 59세의 나이로 제주도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때에 제자 이상적()에게 그려주었는데, 세상 인심에 동요하지 않고 스승에게 의리를 다하는 모습에 고마움을 표현한 것이다.

죄인의 신분으로 추락하여 온세상이 등진 스승에게, 이상적은 통역관으로서 중국에 다녀 올 때마다 귀한 책을 구해다 주었다. 

공자 그리고 완당이 느꼈듯이 진정한 '내 사람'은 내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에야 비로소 알아볼 수 있다.

바람 불고 눈비가 와도 늘 변함 없이 그 자리에 있어주는 '내 사람'이 그립다.


'삶.사람.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를 읽다가  (0) 2016.03.18
사랑이라......  (0) 2015.09.29
변화  (0) 2015.08.29
다른 사람들끼리 살아가는 법  (0) 2015.02.19
더 큰 사랑으로 대하겠습니다.  (0) 2015.02.05
Posted by 오채원
, |

요즘 동학同學들과 논어論語를 공부하고 있다.

그 사이에 주워들은 것이 좀 생긴 덕인지 2012년의 강독 때보다, 무식한 오채원을 비교적 편안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나의 발견은 예상치 못한 보너스.

공자孔子와 제자들 간의 대화, 이에 대한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의 해석, 그리고 그 밑에 깔린 철학, 한자에 담긴 스토리텔링을 접하노라면, 마치 슴슴한 천연발효 깜빠뉴를 씹는 것 같이, 재미 없으면서 재미지다.

20대에서 60대를 아우르는 동학들의 흥미로운 표정을 둘러보며 '대중강연에서 이 내용들을 풀어놓으면, 우리처럼 좋아들 하지는 않겠지?' 생각하다 갑자기 섬뜩했다.


어쩌면 우리는 현실도피 중인지도 모르겠다.

시끄럽고 내 뜻대로 되지 않는 세상에서 잠시 벗어나, 성현의 정도正道에 대한 말씀을 듣다보면 유토피아에 와 있는 것 같다. 

게임, 도박, 음주처럼 인문학도 순간 우리를 다른 세상으로 보내는 것이다.

그래도 게임, 도박, 음주와는 비교도 못할만큼 건전하지 않냐고?

그들은 양심의 저촉을 받으니, 취해 있다가도 정신이 돌아오면 자신을 반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인문학은 우리 마음 속에서 떳떳하게 작용하여 마취에서 깨어나지 못하게 한다.


우월감을 경계해야겠다.

세상이 인문학 열풍이라고 떠들어대니, 나같은 초학자初學者에게도 세종식 소통리더십을 위시한 인문학 강의의 요청이 늘고 있고, 때때로 강의장에서 강의 쇼퍼shopper들을 만난다.

'적당히 달달하게 가공했지만 그래도 인문학은 인문학이니까. 나는 인문학을 공부(하는 강의장에 앉기는)한 지식인 내지 문화인이다.'

이는 인문학과 공부의 의미를 잃은 태도이다.

고전 맛 좀 보았다고, 명품 걸친 졸부처럼 우쭐대지 말자.


공부에 책임을 져야겠다.

겪어 보니, 리더십을 공부한 사람이 그 리더십에 문제가 많다.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다를진데, 리더십 관련 책을 읽었다고 강의를 들었다고 연구를 한다고, 자신이 리더십을 갖추었다고 믿는 문제아들이 참 많더라.

리더십 공부를 하지 않은 사람은 리더인 척은 안 하니 차라리 낫다.

성현들도 누누이 강조하듯이 공부의 목적은 실행에 있다.

아는 것이 나라고 믿어, 공자와 나를, 세종과 나를 동일선상에 놓는 오만을 경계하자.


마지막으로 한 마디.
이 모든 이야기는 겉멋 든 인문학 초학자인 나의 양심선언 내지는 고해성사이다.
부디 어여삐 여겨주소서~


시문(詩文)을 읽는 공자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Posted by 오채원
, |